
배달 음식 고를 때 가격이 먼저? aT는 외식 물가 및 배달료 인상 등의 요인이 작용해 가격에 대한 민감도가 커진 것이라 분석했다.
배달 애플리케이션으로 음식과 음식점을 선택할 때 무엇을 우선순위로 둘까. 전년도 조사에서는 ‘리뷰’가 1위였으나, 올해 조사에서는 ‘가격’이 1위를 차지했다. 외식 물가 및 배달료 인상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6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발표한 ‘2022~2023 국내외 외식트렌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9~10월 전국 만 20~69세 성인 소비자 1천267명과 외식업 종사자 58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설문 조사 결과 소비자는 배달 앱을 이용해 음식·음식점 선택 시 음식 및 배달료 등 가격에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
음식 가격(21.1%)에 이어 배달료(15.1%), 리뷰(14.7%), 메뉴의 다양성(12.4%), 소요 시간(10.5%), 브랜드 인지도(10.5%), 최소 주문 금액(6.4%)이 뒤를 이었다. 전년도 조사에서는 23.7%로 1위를 차지한 리뷰는 1년 만에 3위로 떨어졌다. aT는 외식 물가 및 배달료 인상 등의 요인이 작용해 가격에 대한 민감도가 커진 것이라 분석했다.
특히 배달료에 대한 저항감이 컸다. 배달료에 대해서는 비싸다는 반응이 57.8%로 절반을 넘었으며 조금 비싸다는 응답은 34.6%였다. 적절하다는 6.8%, 싸다는 응답은 1% 미만에 불과했다. 전년도 조사에서는 조금 비싸다는 응답이 49.4%로 가장 많았다.
적정 배달료에 대해서는 2천원이라는 의견이 68.6%로 가장 많았다. 2천500원(11.8%), 3천원(11.2%)이 뒤를 이었다. 현실에서 소비자가 배달 앱 이용 시 부담하는 배달료는 3천원이 가장 많았다. 외식업 종사자 대상 설문조사에서 배달 앱 이용 시 고객이 부담하는 배달료에 대한 질문에 3천원이라는 응답이 38.2%로 가장 많았고 이어 2천원(25.4%), 2천500원(16.2%), 3천500원(12.2%) 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은 배달 주문 방법은 일반 배달 앱이 절반 이상(52.3%)을 차지했다. 그 외 브랜드 자체 앱(15.9%), 공공배달 앱(12.3%), 전화 주문(14.5%) 순이었다. 일반 배달 앱 주문 응답 수는 전년도 조사보다 6.6%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브랜드 자체 앱, 공공배달앱은 2.2%포인트, 4.0%포인트 각각 상승했다.
aT는 일반 배달 앱의 경우 배달료와 각종 수수료 등에 대한 부담 이슈가 지속되지만 프랜차이즈 브랜드들은 자사 배달 앱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을 진행하고 지자체들도 공공배달 앱 활성화에 주력하고 있는 상황이 반영된 것으로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