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시 끝낸’ 서울 청년, ‘20만 원 바우처’로 뮤지컬 보러가요

‘입시 끝낸’ 서울 청년, ‘20만 원 바우처’로 뮤지컬 보러가요

댓글 공유하기
서울시는 만 19세 청년을 대상으로 문화예술공연 관람이 가능한 20만 원 상당의 바우처인 ‘서울형 청년문화패스’를 지급한다.

서울시는 만 19세 청년을 대상으로 문화예술공연 관람이 가능한 20만 원 상당의 바우처인 ‘서울형 청년문화패스’를 지급한다.

“2004년생들, ‘서울형 청년문화패스’ 바우처 받고 각종 공연 보러 가세요.”

서울시는 오는 4월부터 만 19세 청년을 대상으로 문화예술공연 관람이 가능한 20만 원 상당의 바우처인 ‘서울형 청년문화패스’를 지급한다.

서울형 청년문화패스는 그간 우리 사회에서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었던 ‘청년층’에 대한 관심에서 시작된다. 그중에서도 입시와 경쟁 속에서 문화예술을 누릴 기회가 적었던 만 19세 청년을 대상으로 한다.

적용 대상은 서울에 거주하는 만 19세 청년(2004년생) 중 가구 소득이 중위소득 150% 이하인 청년이다. 청년들은 1인당 연간 20만 원 상당의 문화바우처(카드)를 생애 1회 지원받게 되며, 이 바우처를 통해 연극, 뮤지컬, 무용, 클래식, 전통예술 등의 공연예술을 관람할 수 있다.

그동안의 예술 분야 지원이 일방적인 창작지원금 지급이 주를 이뤘다면, 이제는 시장 전체의 지원을 통해 예술 소비 계층 전체를 두텁게 만들도록 도와 장기적으로 예술생태계의 저변을 확대하고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겠다는 목표다.

서울시는 서울형 청년문화패스 바우처의 편리한 발급과 사용을 위해 2월 7일 신한은행-신한카드-서울문화재단과 4자 간 협약을 맺고 사업을 공동으로 수행한다.

‘서울형 청년문화패스’를 받는 만 19세 청년들은 신한금융그룹 통합 플랫폼인 신한플러스를 통해 신한체크카드를 발급받고 신한은행 지급 계좌를 개설해 20만 원 상당의 문화패스 바우처를 제공받는다. 이 바우처로 서울 시내 공연장 공연을 관람할 수 있다.

협약을 통해 각 기관은 서울형 청년문화패스 이용을 위한 바우처카드 발급, 서울형 청년문화패스 신청 및 이용자 관리 시스템 구축·운영·관리, 서울형 청년문화패스 카드발급 및 사용 관련 콜센터 운영, 서울형 청년문화패스 사업의 성공적 사업수행을 위한 네트워크 공동 이용 등을 협력하게 된다.

이외에도 서울시와 각 기관은 주기적으로 실무협력 회의를 열어 청년문화패스가 청년 사회에 안정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도울 예정이다. 시는 향후 청년문화패스 활성화를 위한 연계 사업을 발굴,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서울형 청년문화패스는 2023년 4월, 참여자를 모집할 예정이며 자세한 정보는 서울시 홈페이지, 청년몽땅정보통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화제의 추천 정보

    Ladies' Exclusive

    Ladies' Exclusive
    TOP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