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물스물 옷깃을 파고드는 추위에 머릿속까지 꽝꽝 얼어붙는 계절이다. 할 일은 산더미인데 지끈지끈 머리만 아파온다면 혹사당하는 당신의 뇌에 활력을 불어넣어보자. 한국뇌과학연구원에서 공개한 한국과학영재고 영재 3백45명의 두뇌 활용 습관 살펴보기.
머릿속이 복잡할 때, 자신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자 할 때, 현재 상태에서 변화가 필요할 때 명상이나 호흡, 산책 등 심신을 바르게 하는 것은 뇌 상태를 가장 편안한 지점으로 회복하는 지름길이다.
둘 집중이 안 될 땐 빠르게 뇌의 상태를 바꿔보자
집중이 안 될 때는 시간과 공간을 달리하거나 새로운 일을 찾아보자. 새로운 환경에 직면하면 뇌에 신선한 자극이 되기 때문에 금세 뇌 상태의 전환이 이루어진다. 영재들처럼 집중이 안 될 때 숙면을 취하거나 음악, 운동, 게임 등 기존의 상태에서 빠르게 벗어나는 것은 훌륭한 두뇌 활용 습관이다.
셋 체력 관리는 뇌 상태를 맑게 유지하는 기본이다
영재고등학교 학생 10명 중 8명이 구기운동부터 간단한 스트레칭 등을 통해 체력 관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몸을 움직이는 것은 두뇌 활동을 원활히 하는 데 도움을 준다.
넷 예습보다는 복습에 집중하자
미리 하는 것보다 나중에 다시 한번 정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기억력을 높이는 데에는 반복성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미리 공부하는 것도 좋지만 해당 정보를 한 번 더 뇌에 입력하는 습관을 들이자.
다섯 시간이 없을 땐 부족한 것에 집중하자
모든 것을 다 할 수는 없는 법. 시간이 없을 때는 잘하는 것보다 부족한 것에 집중하자. 시간 대비 효과, 자신감 측면을 고려했을 때 다소 부족한 것의 정보를 습득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여섯 독서는 다양한 지식을 뇌에 공급하는 기본 습관이다
독서는 두뇌 활용 측면에서 유연성을 확대하고 새로운 자극에 대한 뇌 기능 발달에 있어서도 효과적이다.
일곱 중요한 날 전에는 충분한 휴식을 통해 뇌를 충전하자
뇌가 긴장하면 뇌 기능이 쉽사리 발현되지 않는다. 다음날 중요한 일을 앞두고 있다면 휴식을 취하거나 정리한 내용을 위주로 가볍게 체크하는 것이 뇌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는 데 효과적이다.
■글 / 노정연 기자 ■사진 / 경향신문포토뱅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