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내장, 노안으로 여기고 방치하면 자칫 실명
백내장은 원인에 따라 노인성 백내장, 외상성 백내장, 선천성 백내장, 후발성 백내장 등으로 나뉜다.
주로 50~60대에 발생하는 노인성 백내장은 백내장 질환 중 가장 흔하며 눈의 노화현상에 의해 생긴다.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일찍 발견하는 것이 좋으며, 수술을 통해 치료가 가능하다. 외상성 백내장은 나이와 상관없이 눈의 외상으로 인해서 발생한다. 어렸을 때 장난으로 눈에 상처가 나거나 공놀이를 하다가 눈에 강한 타격을 받을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이때의 충격으로 인해 수정체가 파열되거나 혹 파열되지 않아도 수정체에 혼탁이 올 수 있기 때문이다. 충격으로 인한 부기와 충혈이 가라앉고 나면 특별한 통증이나 염증을 동반하지 않기 때문에 모르고 지나치는 경우가 많다.
백내장이 발생하면 일단 약물치료를 통해 백내장의 진행을 최대한 늦춘다. 하지만 약물치료로는 백내장이 완벽하게 없어지지 않는다. 어느 정도 진행된 상태에서는 약물치료로 효과를 보기 어렵다. 따라서 최종적인 해결책은 수술뿐이다.
명동밝은세상안과 이인식 원장은 “많은 환자들이 백내장은 최후에 수술을 해야 좋은 것으로 알고 있지만, 이는 초음파 유화흡입술이나 미세절개 백내장 수술 같은 수술이 나오기 전의 일”이라며 “최근엔 ‘일상생활하는 데 불편함을 겪을 경우’에 수술하기 때문에 0.1~0.5 정도 시력의 진행하지 않는 백내장도 본인이 불편하다 생각하면 수술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백내장 수술은 최후에’ 생각은 잘못
백내장 수술은 각막윤부에 부분적인 절개를 한 후 혼탁된 수정체를 제거한다. 주로 각막윤부를 10mm 정도 절개한 후 혼탁된 수정체 전체를 안구 밖으로 빼내는 방법을 이용한다. 하지만 수술 절개창이 크고, 수술 후 난시 및 회복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초음파 유화흡입술은 초음파를 이용해 3mm 절개 창을 통해 안구 내에서 분쇄 제거하는 방법으로, 기존보다 절개 창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서 상처 치유가 빠르고 난시도 적게 생겨 시력 회복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에는 일반적인 백내장 수술이나 초음파 유화흡입술을 한층 개량한 미세절개 백내장 수술법을 많이 사용한다. 2mm의 작은 절개 창으로 수술을 진행하기 때문에 조직 손상 없이 매끄러운 수술을 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백내장 수술을 하면서 바로 인공수정체를 눈 안에 삽입해 노안까지 교정하는 인공수정체 삽입술이 많이 시행되고 있다. 인공수정체는 특별한 합병증이 없는 한 수명이 반영구적이며 본인도 인공수정체가 들어 있다는 사실자체도 모를 정도로 편안하게 느낀다.
하지만 인공수정체 삽입술이 완전한 것은 아니고 부작용이 전혀 없는 것도 아니다. 아주 드물게 인공수정체가 제자리에서 이탈하거나 인공수정체로 인한 안내염이 발생하는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심한 경우 인공수정체를 제거해야 하는 상황도 생길 수 있다. 이인식 원장은 “인공수정체 삽입 자체가 어려운 경우도 있고, 인공수정체를 넣지 않는 것이 더 좋은 경우도 있다”며 “따라서 인공수정체를 삽입하기 전에 반드시 안과 의사의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글 / 장형순(헬스경향 기자) ■사진 / 경향신문 포토뱅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