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 우리 아이도? 인터넷 중독 이야기

혹시 우리 아이도? 인터넷 중독 이야기

댓글 공유하기
우리나라 남녀 중학생 582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 따르면 48.5%가 인터넷 중독이라는 통계 결과가 있다. 초고속 인터넷 선진국으로 인정받고 있는 우리의 또 다른 일면이다. 사회문제화되고 있는 인터넷 중독에 관한 흥미로운 몇 가지 이야기를 해본다.

혹시 우리 아이도? 인터넷 중독 이야기

혹시 우리 아이도? 인터넷 중독 이야기

인터넷 세상은 ‘중독의 세상’
인터넷을 즐겨 하는 사람들은 특정한 콘텐츠에 쉽게 중독된다. 요즘 청소년들에게 주로 나타나는 중독은 게임 중독, 메신저(채팅) 중독, 음란물 중독, 미니홈피 중독 등이 있다.

이 중 남학생들에게 가장 광범위하게 나타나는 것은 게임 중독이다. 또 이들은 성에 대해 충동적이고 시각적인 면을 좋아해 음란물 중독증에 빠지기도 쉽다. 메신저(채팅) 중독과 미니홈피 중독은 감성적인 여학생들에게 주로 나타난다. 미니홈피는 자신을 남에게 내보이고 싶은 허세와 남의 개인생활을 훔쳐보고 싶은 관음증을 절묘하게 충족시키는 콘텐츠로 인기를 끌고 있다. 이에 따라 하루라도 미니홈피에 들어가지 못하면 금단증상처럼 불안해지는 인터넷 유저들이 늘고 있다. 이 밖에 정보를 검색하는 서핑 중독, 동호회 중독, 댓글 중독, 엽기 중독, 인터넷 카지노 중독 등 다양한 인터넷 중독이 있다.

‘머리 좋은 A형 외아들’이 게임에 빠지는 이유?
인터넷 중독 중 가장 심각한 피해를 주는 것은 단연 게임 중독일 것이다. 게임에 중독된 아이들을 보면 학업 성적 저하는 기본이고 부모와의 불화로 인한 가출, 등교 거부, 사회 부적응, 폭언과 폭력 등 다양한 병폐를 가져온다. 한국컴퓨터생활연구소는 2007년 6월부터 2009년 9월까지 게임 중독으로 상담한 사례를 바탕으로 흥미로운 결과를 도출했다. 심각한 게임 중독은 남학생 97.4%, 여학생 2.6%로 남학생이 압도적으로 많으며 게임 중독 발생 연령은 고등학생이 제일 많고 중학생, 대학생 순이었다. 혈액형을 분석해보면 A형이 42.1%로 가장 높았다. 우리나라 인구 중 A형은 34%로 제일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지만, 이것을 감안하더라도 꽤 높은 수치다. 형제관계는 외아들이 59.6%로 게임 중독에 잘 빠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게임 중독에 빠진 사람들의 평균 IQ는 133으로 좋은 편에 속했다.

대한민국 브레인 ‘카이스트’도 게임 중독에 시달리다?
한편 카이스트에서 학사경고 제적을 당한 재입학 신청자들 중 70%가 게임 중독이 원인이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카이스트는 학부생 3000명 가운데 50명이 게임 중독으로 학사경고를 받았으며, 최근 학사경고 3번을 받아 제적됐다가 재입학을 신청한 학생들의 3분의 2가 ‘게임 중독에 따른 학업 부진이 원인’이라는 통계자료를 공개했다. 카이스트 학생처는 특단의 조치로 10월부터 오전 2~7시 일부 게임사이트 접속을 차단하는 조치를 취하고 있다. 대학생들의 게임 중독은 대부분 청소년기에 시작된 것으로 분석된다. KEDO가 조사한 온라인 중독 연구자료에 따르면 성인 도박 중독자의 60%가 청소년 시절 게임에 중독된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중독 치유 프로그램을 적극 이용
부모는 ‘컴맹’, 아이는 ‘인터넷 중독’. 부모가 자녀의 인터넷 중독을 치료하지 못하는 이유는 세대적 격차도 한몫한다. 부모가 컴퓨터에 대한 이해가 없으면 아이와 대화 자체가 불가능하며 중독을 막기 위한 설득 또한 통하지 않는다. 최근 인터넷 중독은 대표적인 인터넷의 역기능 중 하나로 문제시되면서 정부도 인터넷 중독의 실체 규명과 치료 방법을 놓고 실험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인터넷 중독에 대한 연구 논문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캠프가 만들어지고 운동 치료와 예술 치료 등 새로운 치유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있는 것. 한국컴퓨터생활연구소 어기준 소장은 “인터넷 중독은 수년 동안 서서히 진행되다가 불과 몇 개월 사이에 급격히 악화되는 특성이 있으므로 예방 교육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자녀가 인터넷 중독으로 인해 이상증후가 보일 때에는 즉시 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이 좋다.

■글 / 이유진 기자 ■사진 / 경향신문 포토뱅크
■도움말 / 한국컴퓨터생활연구소(www.computerlife.org)

화제의 추천 정보

    Ladies' Exclusive

    Ladies' Exclusive
    TOP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