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강시민공원
한강시민공원은 한강의 줄기를 따라 망원, 여의도, 반포, 잠원, 잠실, 광나루 등 9개 지구로 나뉘어 있는데, 그중 여의도, 잠실, 뚝섬지구 한강시민공원에는 유람선 선착장이 있어 많은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곳이다.
뚝섬지구는 영동대교와 잠실대교 하류 강변 북단에 위치해 있으며, 길이는 11.6km로 성동구와 광진구에 인접해 있다. 둔치에는 축구장, 배구장, 배드민턴장, 핸드볼장, 테니스장, 농구장 등 각종 구기운동을 할 수 있는 시설이 고루 갖추어져 있으며, 특히 시원한 강바람을 받으며 낭만과 젊음을 만끽할 수 있는 수상스포츠를 이용하는 장소로 윈드써핑, 모타보트, 수상스키 등 레져 활동을 하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또한 자연학습장, 낚시터 등이 있어 청소년들의 자연학습과 시민들의 여가선용의 장소로 자주 이용된다.

DATA
체육시설 축구장, 배구장, 테니스장, 배드민턴장 등,
편의시설 유람선선착장, 자연학습장, 식수대, 공중전화, 그늘막, 간이매점
위치 뚝섬지구/광진구 자양동 428번지
문의 453-3028

서울의 중심부에 위치한 서울의 상징. 높이는 해발265m로 서울시내를 관망할 수 있는 서울타워(236.7m)가 있고 또한 조선시대의 통신수단이었던 봉수대 1개소가 복원되어 있다. 남산 드라이브 코스를 따라 올라가면서 도심속의 울창한 숲과 자연 생태계를 직접 볼 수 있고, 팔각정 주변에서 마음껏 휴식을 즐길 수 있다.
또 남대문 쪽에서 올라가는 남산길 초입에 위치한 백범광장에는 시민들이 자유롭게 배드민턴이나 테니스를 즐길 수 있는 넓은 광장이 조성되어 있고 옥돌이 깔린 맨발공원이 조성되어 있어 맨발산책의 즐거움까지 한껏 느낄 수 있다.
DATA
휴식시설 분수, 파고라, 꽃시계, 그늘시렁
관람시설 서울타워, 과학교육원, 시립도서관, 국립극장, 원불교 교당, 식물원, 약수터, 동상, 기념비, 팔각정
위치 중구 회현동 1가 100-177번지
문의 753-2563, 5576, 2651

옛 여의도 광장에 조성된 여의도 공원은 도심에서 쉽게 자연을 접할 수 있는 녹색공간으로 어린이에서 노인에 이르기까지 모든 시민들이 휴식을 즐길 수 있는 공간이다.
여의도 공원은 서울시 모양의 연못이 있는 한국전통의 숲과 도심 한복판에서도 삼림욕의 상쾌함을 맛볼 수 있는 자연생태의 숲, 자전거 타기를 즐길 수 있는 잔디마당, 대형콘서트와 음악회, 사생대회 등 문화행사를 열 수 있는 문화의 마당 등 4개의 공간으로 구성돼 있으며, 산책로와 자전거도로가 공원을 둘러싸고 있다. 한낮은 물론 저녁에도 이곳에서 자전거나 롤러 블레이드를 타는 가족이나 연인들을 만날 수 있다. .
DATA
휴식시설 팔각정, 사모정, 광장, 지당
관람시설 야외무대, 생태연못, 잔디마당연못, 세종대왕동상
체육시설 자전거도로, 산책로,
위치 영등포구 여의도동 2번지
문의 761-4078∼9

공군사관학교가 들어서 있던 곳을 서울시에서 인수, 1986년 5월에 복지시설 위주의 시립공원으로 개원하였다. 주요 시설물로는 대운동장을 비롯하여 잔디광장, 독서실, 청소년수련장 , 소동물원, 체육관, 수영장, 장애자복지관, 남부노인종합복지관 등이 있으며, 그 밖에 연못과 녹지, 산책로, 조깅코스 등이 마련되어 있다. 동작구 관악구에 걸쳐 있는 넓은 휴식공간으로, 인근의 시민들이 많이 이용한다.
DATA
휴식시설 연못, 잔디광장, 팔각정, 벤치
관람시설 동물원, 기념비/탑 ,
체육시설 수영장, 테니스장, 체육관, 체육시설
위치 동작구 신대방동 395번지
문의 833-6679, 832-0102
용산가족공원
1992년 문을 연 용산가족공원은 1997년 국립박물관 건립으로 규모가 축소되었지만 아름답고 깔끔한 잔디와 숲, 연못 등 도심내의 자연 공원으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골프장이었던 부지의 장점을 살려 넓은 잔디밭과 연못 등 서구 풍의 공원을 맛 볼 수 있다. 또한 능수버들이 멋들어지게 조성되고 자연경관이 뛰어나다. 이외에도 산책로와 조깅코스 등 각종 시설들이 구비되어 있어 방문하는 시민들의 편의를 도모하고 있다. 1년 내내 24시간 무료로 문을 열며 주변에 남산공원, 한강시민공원 이촌지구, 전쟁기념관 등의 볼거리가 있다
DATA
휴식시설 연못, 산책로, 잔디광장, 정자, 원두막
체육시설 체력단련시설
편의시설 야외예식장, 자동판매기, 음수대, 공중전화, 화장실, 벤치
위치 용산구 용산6가동 68-90번지 일대(미8군골프장)
문의 792-5661

서울구치소가 있던 자리로, 1987년 서울구치소가 경기도 의왕시로 이전하면서 감옥과 사형장·담장·망루 등을 사적으로 보존하고 일대를 공원으로 꾸며 1992년 8월 15일 문을 열었다. 주요 건물로는 독립관과 독립문, 영은문 기초, 옥사 7동, 사형장 1동, 나병사, 보안과 청사, 담장과 망루 등이 있으며, 기념물로는 독립선언기념탑·순국선열추념탑·시계탑 등이 있어 역사의 숨결을 느낄 수 있는 곳이다.
DATA
휴식시설 벽천, 파고라,
관람시설 독립관, 기념비/탑, 서울구치소,
편의시설 매점(휴게실), , 화장실, 벤치
위치 서대문구 현저동 101번지 (서대문형무소)
문의 364-4686
구파발폭포
서울시 서북부의 관문인 통일로의 랜드마크(land mark)로서, 통일로의 가로 경관 향상과 쾌적한 도시환경 조성을 목적으로 조성되었다. 주요 시설물은 수경시설로 높이 12m의 은하폭포와 높이 5m의 산성폭포가 있으며 인공폭포용 물은 지하철 지하수를 활용한다. 그밖에 야외공연무대, 광장, 산책로, 벤치 등이 마련되어 있다. 분수대에서 물을 뿜는 기간은 4∼10월이며 오전 10시∼오후 1시, 오후 3∼6시, 오후 7∼9시로 하루에 3차례 물을 뿜는다.
DATA
관람시설 은하폭포, 산성폭포,
편의시설 매점(휴게실),화장실, 벤치
위치 은평구 진관내동 산94-1번지
문의 364-4686
광화문 시민열린마당
1999년 1월 1일 문을 연 광화문 시민열린마당은 열린마당, 육조마당, 휴게마당 등 3개 마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신문고를 재해석한 ‘서울 신문고’를 설치하여 서울시민이나 서울특별시를 찾은 외국인이 직접 시청에 전화로 불편사항을 신고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중앙의 열린 마당은 전통 아악 공연과 사생대회, 야외전시장 등으로 이용되며, 북쪽 육조마당은 광화문의 옛 육조거리를 현대적으로 재현해 놓은 곳이다.
DATA
휴식시설 연못, 열린마당, 육조마당, 휴게마당
관람시설 서울신문고, 육조상징벽,전통담장, 열주, 화계
위치 종로구 세종로동 76-2번지
문의 722-9598

8만여 평의 넓은 대지에 잣나무, 느티나무, 은행나무 등 많은 수목이 울창하게 심어져 있는 자연 휴식 공간이다. 느티나무, 당단풍, 각종 침엽수들이 빽빽히 들어차 있고, 맨발로 오톨토돌한 자갈길을 걸을 수 있는 맨발 공원, 조각공원, 자연 전시장, 자연체험관이 마련되어 있다. 또 오소리와 두루미가 산다는 양재천 구경도 할 수 있다.
공원 내부에는 매봉 윤봉길의사 기념관이 있어 교육장소로 손색이 없다. 인근에 각종 편의 시설을 갖추고 있는 서울 문화회관과 서초 문화예술공원 등이 있어 하루 나들이 코스로도 적당하다.
DATA
휴식 시설 잔디광장, 파고라, 야외무대, 광장, 그늘시렁
관람시설 매봉기념관, 충혼탑,
체육시설 배구장, 배드민턴장, 테니스장
편의시설 매점(휴게실), 음수대, 공중전화, 화장실, 벤치
위치 서초구 양재동 236 등 4필지
문의 575-3895
영등포공원
공원녹지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영등포1동·대림동·도림동·신길동 등의 주변지역 주민들에게 휴식 및 여가활동 공간을 제공하는 공원이다. 이곳은 원래 60여 년 동안 OB맥주(주) 공장이 있던 자리였으나, 1997년 OB맥주(주)가 경기도 이천시로 공장을 옮기자 서울시에서 이 부지를 사들여 공원을 조성하고 1998년 7월 22일 문을 열었다. 당시 맥주 제조에 쓰이던 순동제 담금솥은 이 공원의 랜드마크(land mark)로 남겨져 원형광장과 함께 공원의 중심 공간을 이루고 있다.
DATA
휴식시설 벤치, 파고라, 연못, 개울, 벽천, 잔디밭, 무궁화동산, 문화마당
관람시설 원형광장, 야외무대, 담금솥
체육시설 건강지압보도,농구장, 배구장, 배드민턴장, 체력단련시설
위치 영등포구 영등포동 582-3번지(OB맥주공장)
문의 831-1194
매화공원
서울시가 ‘공장이적지 공원화사업’의 일환으로 성진유리(주) 공장 터에 사업비 6억 원을 들여 조성한 뒤 1998년 6월 18일 문을 열었다. 면적은 1,980㎡로 녹지대가 1,197㎡, 산책로가 783㎡를 차지한다. 지역주민이 많이 찾는 공원이며 유리조각조형물이 공원의 상징물로 세워져 있다.
DATA
시설 팔각정자, 사각파고라, 산책로, 녹지대, 마을마당, 놀이마당, 상징조형물, 음수대, 화장실, 벤치
위치 강서구 등촌동 630-14번지
문의 761-4078~9
천호동공원
천호동 옛 파이롯트공장 부지에 우리 나라 자생식물을 주제로 한 자연학습공원으로 조성하였으며, 1998년 6월 20일 문을 열었다. 도심 내에서 자연학습과 휴식을 할 수 있는 근린공원으로 개발되어, 자연학습원과 잔디광장·연못·운동장·체력단련시설 등이 마련되어 있다. 전체 공간구성은 중앙에 야외무대를 끼고 잔디광장이 넓게 펼쳐지며 연못과 자연학습원·숲이 환상형(環狀形)으로 배치되어 있고, 광장 진입부에는 대형 느티나무가 서 있다.
DATA
휴식시설 연못,계류,야외무대, 팔각정
관람시설 자연학습원
체육시설 소운동장, 체력단련시설, 농구대
위치 강동구 천호동 360번지 (빠이롯트공장)
문의 473-277
간데메 공원
공원녹지가 부족한 동대문구 주택밀집 지역의 전매청 창고 자리에 조성한 공원이다. 1998년 7월 18일 완공하고 문을 열었는데. 공원 명칭은 옛날 답십리 일대에 있던 간데메(중산) 자연부락에서 따온 것이다. 면적은 총 1만 5,180㎡이다. 연못, 팔각정, 장미그늘시렁, 음수전, 사각정자 등의 휴식시설과 평행봉·게이트볼장·농구장·배드민턴장 등 체육시설이 있어 가족들과 함께 휴식과 체력단련을 즐길 수 있는 곳이다. 수목은 소나무·섬잣나무·계수나무 등 36종 1만 6,462그루가 자라고 초화류는 개미취·구절초·갈대 등 8종 3,250포기가 자라고 있다.
DATA
휴식시설 연못, 계류, 팔각정, 장미그늘시렁, 사각정자, 음수대
체육시설 게이트볼장,농구장, 배드민턴장, 평행봉, 조합놀이대, 놀이시설, 자전거보관대
위치 동대문구 답십리동 471번지(전매청창고부지)
문의 2249-2770

성수공원
삼익악기(주) 공장 부지에 조성한 공원으로 1998년 4월 28일 문을 열었다. 면적은 총 5,198㎡이며 조경시설로 그늘시렁 4개소, 돌담 2개소(251m), 돌담 장식대 84개소, 산책로가 있고, 운동시설로 청소년을 위한 간이농구장이 마련되어 있다.
DATA
주요 시설 그늘시렁, 돌담, 돌담장식대, 광장, 파고라, 농구장, 음수대, 화장실, 벤치
위치 성수구 성수2가동 302-25번지
문의 473-2770
일산 호수공원
동양 최대의 인공 호수가 조성되어 있는 이곳은 고양시민을 비롯한 인근 수도권 시민들의 새로운 휴식공간으로 각광받고 있는 곳이다. 100여 종의 야생화와 20만여 그루의 수목, 잔디광장, 수변광장, 인공섬, 약초섬, 자연학습원, 팔각정, 야외무대, 보트장, 자전거 전용도로, 야외 식물원, 어린이 놀이터, 인공폭포, 광장, 다목적 운동장, 조류사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다.
공원은 호수 중간에 떠 있는 달맞이섬을 경계로 두 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북쪽은 자연의 호수 그대로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고, 남쪽은 인공호로 여러개의 아름다운 광장과 분수 등으로 꾸며져 있다. 공원 한가운데에는 고사분수가 있어 여름철 낮시간 동안에는 10m가 넘는 물줄기를 뿜어낸다. 공원 중앙에 있는 한울 광장에서는 스케이트보드나 롤러블레이드 동호회의 대회가 벌어지기도 한다. 호숫가를 따라 7.5km의 산책로와 공원 내를 일주할 수 있는 4.7km의 자전거 전용도로가 마련되어 있다.
DATA
휴식시설 잔디광장, 수변광장, 인공섬, 약초섬, 팔각정, 인공폭포, 광장,
관람시설 자연학습원, 야외 식물원
체육시설 야외무대, 보트장, 자전거 전용도로, 어린이 놀이터, 다목적 운동장
위치 고양시 일산구 장항동
문의 031-906-4557, 031-905-1782

조경이 뛰어나 영화나 드라마, 광고 촬영장소로 자주 활용되고, 일본과 타이완 등 해외에서도 견학을 올 정도. 시민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공원 주변의 아파트단지와 연결된 육교 4개를 설치하였다. 또 유아를 동반한 가족 단위의 이용객을 위해 유모차를 대여해 주고 모유방까지 설치되어 있다.
공원내에 있는 호수 분당호는 공원을 가로지르며 흐르는 분당천을 끌어들여 조성한 연못이다. 약 1만 2500㎡의 넓이로 경주 안압지를 원형으로 하여 만들어 경관이 뛰어나다. 그 외에도 문화재로 지정된 수내동 가옥을 복원하였으며, 고인돌 정원도 조성되어 있는데 이곳에는 성남시 곳곳에 있던 10기의 고인돌이 모여 있다.
DATA
휴식시설 호수와 분수·물레방아·잔디광장·상록수광장·역말광장·황새울광장
관람시설 야외공연장과 무대·동물원, 수내동 가옥, 고인돌
체육시설 배드민턴장과 게이트볼장·기체조장·종합체육시설, 인라인 스케이트장
위치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 65
문의 031-729-5704
난지 한강공원
난지도와 한강이 만나는 둔치 지역으로 유람선 선착장, 요트장 등 레저시설이 갖춰진 ‘친수’(親水) 공원이다.피크닉장은 대규모 공연행사를 열 수 있을 만큼 큰 잔디광장으로 조성되어 있다. 이곳은 월드컵 기간에는 캠핑장으로 이용되었는데, 수도시설, 화장실 등도 충분히 갖추어져 있다. 인라인스케이트장, 국궁장, 어린이놀이터, 다목적운동장 등도 갖춰져 있어 초여름밤 한강변으로 나서는 가족들에게 최적의 공간을 제공한다.
DATA
시설 선착장, 캠핑장, 국궁장, 잔디 및 초지광장, 자연생태습지 등
위치 서울시 마포구 상암동
문의 3780-0881
Tip 여기에도 공원이 있어요!
훈련원공원 중구 을지로 02-2268-5810
중마루공원 영등포구 영등포동 02-761-4078∼9
샛마을공원 강동구 명일동 02-441-2770
중계근린공원 노원구 중계2동 950-3395
낙산공원 종로구 동숭동 743-7985∼6
분당 율동공원 성남시 분당구 율동 031-702-8713
수원정자공원 수원시 장안구 영화동 031-288-2716
기획 / 박현숙 기자 진행 / 전유선(자유기고가) 사진 / 신생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