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포진 백신…치매 위험도 20% 낮춘다

대상포진 백신…치매 위험도 20% 낮춘다

댓글 공유하기

스탠퍼드대학교 연구팀 “대상포진 백신, 치매 위험 20% 낮춰”

스탠퍼드대학교 연구팀은 대상포진 백신이 치매 발병 위험을 약 20% 낮춘다는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픽셀즈 사진 크게보기

스탠퍼드대학교 연구팀은 대상포진 백신이 치매 발병 위험을 약 20% 낮춘다는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픽셀즈

대상포진은 고통스러운 발진과 신경통을 동반하는 흔한 바이러스성 질환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서는 이 바이러스와 관련된 백신이 피부뿐만 아니라 뇌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발표돼 주목받고 있다. 스탠퍼드대학교 연구팀은 대상포진 백신이 치매 발병 위험을 약 20% 낮춘다는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VZV)는 수두를 일으킨 뒤 몸속 신경에 잠복해 있다가 면역력이 떨어질 때 재활성화돼 대상포진을 유발한다. 50세 이상이거나 면역력이 약한 사람들에게서 주로 나타나며, 통증이 수 주 이상 지속되는 경우도 많다. 최근 백신 접종이 대상포진뿐 아니라 장기적인 인지 기능 보호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백신의 중요성이 다시금 강조되고 있다.

스탠퍼드대 연구팀은 웨일스의 성인 28만 명 이상의 건강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대상포진 백신을 접종한 이들이 접종하지 않은 이들보다 향후 7년간 치매 진단 가능성이 20% 낮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는 2024년 발표된 두 건의 유사 연구 결과를 뒷받침하는 내용으로, 백신이 치매를 완전히 막지는 못하더라도 발병 시기를 늦추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효과의 배경으로 대상포진 바이러스가 뇌와 척수 근처에 잠복했다 재활성화될 경우 염증 반응을 유발하고, 장기적으로는 신경세포에 손상을 줄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특히 이러한 만성적 염증이 뉴런의 사멸을 유도하고, 이는 치매를 비롯한 신경퇴행성 질환의 원인 중 하나가 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50세 이상이거나 고위험군이라면 백신 접종을 통해 대상포진뿐 아니라 장기적인 인지 건강도 지키는 노력을 해야 한다. 이와 함께 규칙적인 운동, 건강한 식습관, 혈압 관리, 지적 활동 유지 등 생활 속 실천도 병행한다면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관련 증상이 우려된다면 의료진과 상담을 통해 맞춤형 조언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Ladies' Exclusive

      Ladies' Exclusive
      TOP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