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각적으로 재구현한 주택 개조 사무실

감각적으로 재구현한 주택 개조 사무실

댓글 공유하기
도심 속 빌딩을 떠나 한가하고 아늑한 주택에 업무 공간을 들여놓는 사례가 늘고 있다. 주거 공간을 최소한 변형해 탄생한 디자인 오피스, 주택을 개조해 작업실로 꾸민 작가의 갤러리 두 곳을 다녀왔다.

2층으로 올라가는 계단에 사진과 포스터, 그림을 감각적으로 배치해 월 데커레이션을 완성했다.

2층으로 올라가는 계단에 사진과 포스터, 그림을 감각적으로 배치해 월 데커레이션을 완성했다.

리사이클 트렌드가 반영된 공간 디자인소조아시아
매봉산 공원 앞자락에 위치한 한남동 주택 단지를 지나다 보면 심상치 않은 외관의 주택과 종종 마주친다. 주택의 모습을 하고 있지만 어딘지 모르게 눈길을 끈다. 이런 곳들의 대부분은 주택을 개조해 사무실로 사용하고 있는 회사로, 박물관과 미술관 등의 전시 공간 리모델링 및 전시 그래픽을 전문으로 하는 디자인소조아시아도 마찬가지다. 디자인소조아시아의 김유석 대표는 주거를 목적으로 이사를 왔지만 회사를 차리면서 이곳을 사무실 공간으로 꾸미게 됐다. “처음 회사를 차리고 사무실을 만드는 데 당연히 화려하고 멋지게 꾸미고 싶은 마음도 있었죠. 그렇지만 1970년대 지어진 주택의 내부 구조를 바꾸고 싶지는 않았어요.

1·2·3 곳곳에 배치된 현대 작가들의 로봇 태권브이 모티브 작품.

1·2·3 곳곳에 배치된 현대 작가들의 로봇 태권브이 모티브 작품.

지금은 거의 남아 있지 않은 디자인과 창문틀, 사용하던 창유리 등이 오히려 빈티지한 느낌으로 더 특별하게 느껴졌거든요. 그래서 방문을 떼서 활동성을 높이고 공간을 심플하게 만든 것이 개조의 전부였어요.” 지하 1층에 지상 2층으로 지어진 이 집은 층이 단절돼 있지 않고 중앙 계단을 통해 모두 이어진다. 현재 지하 1층은 디자이너들의 작업실이자 주요 업무 공간으로 사용하고 있고, 1층은 주방과 미팅 공간, 대표 개인 사무 공간으로 사용한다. “2층의 경우 주거 공간으로 사용하다가 현재는 게스트룸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사실상 회사의 마스코트인 청송이가 다 차지하고 있지만요(웃음).”

김유석 대표의 개인 사무 공간으로 테이블 상판은 버려진 문짝으로 만들고 다리 역시 폐자재들을 모아 활용했다. 벽은 붓의 터치를 살려 페인팅해 감각적으로 연출했다.

김유석 대표의 개인 사무 공간으로 테이블 상판은 버려진 문짝으로 만들고 다리 역시 폐자재들을 모아 활용했다. 벽은 붓의 터치를 살려 페인팅해 감각적으로 연출했다.



주택을 사무실로 사용하고 있는 점 이외에도 특별한 것은 가구와 인테리어다. 공간을 디자인하거나 리모델링하는 일을 하다 보니 현장에서 멀쩡하게 버려지는 자재들이 아깝게 느껴져 하나 둘 가져와 직원들과 꾸미게 됐다. 테이블 상판으로 변신한 문짝, 벤치와 협탁으로 변한 원목 자재 등은 어딘지 모르게 독특한 멋이 느껴지면서 리사이클 트렌드와 부합하는 멋스러운 가구가 됐다. 또 곳곳에 걸어놓은 작가들의 작품과 기획한 전시의 포스터로 감각적인 월 데커레이션을 완성했다. 성태진, 김석, 찰스 장 등 현대 작가의 로봇 태권브이를 모티브로 한 그림과 조각도 눈에 띈다. “김석 작가의 ‘론리 나이트’는 구입 후 다른 전시에 몇 번 대여도 될 만큼 인기가 좋고 감각적인 작품이죠. 일부러 공중에 매달아 띄우고 그 아래엔 여러 작품을 전시해 소박한 동네 갤러리처럼 꾸미고 싶었는데, 일정이 바쁘다 보니 태권브이 혼자 외롭게 엎드려 있게 됐네요. 그 나름대로 느낌이 있지 않나요?(웃음)”

뉴트럴 컬러가 따뜻한 느낌을 자아내는 아담한 2층집 구조의 외관. 입구에 들어서면 바로 보이는 1층에 테이블을 두어 미팅이나 회의를 할 수 있는 다용도 공간으로 만들었다. 벽에는 블랙 페인트를 부분적으로 칠하고 액자를 걸어 감각적인 월 데커레이션을 완성했다.

뉴트럴 컬러가 따뜻한 느낌을 자아내는 아담한 2층집 구조의 외관. 입구에 들어서면 바로 보이는 1층에 테이블을 두어 미팅이나 회의를 할 수 있는 다용도 공간으로 만들었다. 벽에는 블랙 페인트를 부분적으로 칠하고 액자를 걸어 감각적인 월 데커레이션을 완성했다.

업무 공간이 집처럼 편하고 아늑하니 자연스럽게 창의적인 작업에 열중할 수 있게 되고, 일반 사무실과 비교해 소음이 적어 집중력이 좋아진다는 것이 그가 꼽은 장점. 단, 주택은 겨울에 춥다는 점이 가장 큰 단점이라고. 그래서 사무실로 개조할 때 가장 신경 쓴 부분이 난방 공사다. 외부에서 들어오는 냉기를 막기 위해 내벽에 단열재를 시공했고, 특별히 대형 섀시를 건물 외형에 맞게 디자인해 난방 효율을 높였다. 또 외벽 페인트칠, 옥상 방수 공사, 크고 작은 수리 등으로 손이 많이 가기 때문에 주택관리사만큼이나 해박한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도 있다. 하지만 있는 그대로의 멋을 살려 꾸민 안락한 업무 공간과 평화롭고 한적한 골목길 한편에서 울리는 두부 장수의 종소리, 트럭에서 받는 인심 좋은 과일 장수의 정은 빽빽한 빌딩 속 화려한 사무실에서는 느낄 수 없는 주택 사무실만이 가질 수 있는 최고의 장점이다.

지하 1층은 직원들이 사용하는 사무 공간. 골조를 그대로 노출시켜 빈티지한 분위기로 연출했으며 천장에 옐로 컬러 페인트를 칠해 포인트를 줬다.

지하 1층은 직원들이 사용하는 사무 공간. 골조를 그대로 노출시켜 빈티지한 분위기로 연출했으며 천장에 옐로 컬러 페인트를 칠해 포인트를 줬다.

고스란히 드러난 구조물이 오히려 멋스러운 곳 갤러리 싱킹강

연희동 주택 단지에서도 숨이 찰 때까지 언덕을 올라야 만날 수 있는 갤러리 싱킹강(Thinking Kang). 아이의 순수함이 느껴지는 감성을 간결한 선을 통해 보여주는 강일구 작가가 자신의 주택을 개조해 만든 비영리 갤러리다. 우렁차게 짖어대는 강아지를 만났다면 바로 찾아온 것. 주거 공간으로 이어지는 앞문을 지나 주택 뒤쪽으로 돌아가면 갤러리 입구인 작은 문이 나온다. “처음 촬영 제안을 받았을 때 ‘오피스’라는 점이 갸우뚱했어요. 그렇지만 작가인 저는 이곳에서 그림 작업을 하니 저에게는 이 갤러리가 일터인 셈이죠(웃음).”

창고를 개조해 만든 미니 갤러리로 질감을 그대로 살린 벽과 바닥이 빈티지한 느낌을 자아낸다.

창고를 개조해 만든 미니 갤러리로 질감을 그대로 살린 벽과 바닥이 빈티지한 느낌을 자아낸다.


그림이 전시된 미니 갤러리는 창고로 사용하던 곳으로 구조만 남겨 심플한 공간으로 만들었다. 그리고 지하층은 갤러리 겸 쉼터로 관람객도 음식을 직접 가져와 조리할 수 있는 키친, 음악이나 영화를 감상할 수 있는 스크린룸, 세미나룸 등으로 만들어 예약한 관람객에 한해 오픈하고 있다. 강 작가는 이곳이 미술뿐 아니라 음악, 영화 등 다양한 문화를 접하고 논할 수 있는 문화 대안 공간이 되길 바란다고 한다. 그리고 그 애정은 갤러리를 꾸민 곳곳에서 드러난다. 콘크리트 바닥에 그림을 그리고 곳곳에 배치된 다양한 조명과 인테리어 작업을 모두 직접 했다. 전문 업체에 맡길 수도 있었지만 아내와 발품을 팔아 소품을 구하고, 공간을 꾸미는 재미를 놓치기 싫었다고. 특별히 눈에 띄게 고친 곳은 없지만 유일하게 욕심을 냈던 부분이 나선형 계단이다. 갤러리인 지하 1층부터 개인 작업실인 2층까지 이어지는 아찔한 높이의 철제 계단은 아내가 기획한 것으로, 시공하는 사람들도 손사래를 쳤지만 작업에 들어갔고 결국 멋스럽게 완성됐다. 계단을 올라가면 오른쪽은 개인 휴식 공간, 왼쪽은 작업실로 나뉜다. 지붕의 모양을 그대로 살린 다락방 작업실은 그 자체로도 멋있지만 연희동이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전망 또한 놓칠 수 없는 포인트다.

1 갤러리로 통하는 주택 뒤편의 작은 입구. 2 지하 1층 갤러리에 만든 세미나실. 선풍기의 앞판만 떼어 액자처럼 연출한 월 데커레이션이 독특하다. 3 지붕 구조가 그대로 드러난 다락방은 작업실로 사용하고 있다. 꾸준한 작업의 결과로 방 안을 가득 메운 작품들이 눈에 띈다.

1 갤러리로 통하는 주택 뒤편의 작은 입구. 2 지하 1층 갤러리에 만든 세미나실. 선풍기의 앞판만 떼어 액자처럼 연출한 월 데커레이션이 독특하다. 3 지붕 구조가 그대로 드러난 다락방은 작업실로 사용하고 있다. 꾸준한 작업의 결과로 방 안을 가득 메운 작품들이 눈에 띈다.

강 작가는 상가 건물에도 갤러리 겸 작업실을 낸 경험이 있다. 상가 갤러리는 벽의 컬러를 바꾸거나 바닥 공사 등 인테리어에 변화를 주고 싶을 때마다 쉽게 바꿀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비영리로 운영했음에도 관람객들이 격식을 갖추려고 하는 것이 작가 스스로에게 불편했다. “주택을 개조해 갤러리와 작업실을 옮기니 겨울이 되면 난방으로 해결할 수 없는 추위와, 여기도 제 집의 일부이다 보니 매일 쓸고 닦는 것이 조금 귀찮기도 하더군요(웃음).” 하지만 언덕 위 작업실의 고즈넉한 분위기와 영감이 떠오를 때면 언제든지 작업에 몰두할 수 있다는 점을 최고로 꼽았다. 또 더욱 프라이빗한 공간에서 사람들을 만나 편안한 분위기 속에서 진솔한 감상평을 들을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자 그가 주택 갤러리를 계속 유지하는 이유다.

계단을 만들기 위해 허문 벽의 디테일을 그대로 살려 멋스럽게 연출했다. 개인 작업 공간과 응접실로 사용한다.

계단을 만들기 위해 허문 벽의 디테일을 그대로 살려 멋스럽게 연출했다. 개인 작업 공간과 응접실로 사용한다.



갤러리와 작업실을 잇는 나선형 철제 계단은 지하층부터 2층을 통으로 뚫어 만들었다. 갤러리 바닥은 노출 콘크리트 위에 에폭시로 도장한 뒤 작가가 직접 그린 그림으로 완성했다.

갤러리와 작업실을 잇는 나선형 철제 계단은 지하층부터 2층을 통으로 뚫어 만들었다. 갤러리 바닥은 노출 콘크리트 위에 에폭시로 도장한 뒤 작가가 직접 그린 그림으로 완성했다.


■진행 / 이채영(객원기자) ■사진 / 원상희

화제의 추천 정보

    Ladies' Exclusive

    Ladies' Exclusive
    TOP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