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 페이스에서 찾은 북유럽 디자인 키워드

북유럽 스타일을 훔치다

뉴 페이스에서 찾은 북유럽 디자인 키워드

댓글 공유하기
북유럽 디자인은 국내에 잇따라 상륙하는 현지 브랜드 덕분에 그 열기가 더욱 뜨거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예부터 전해져온 가치와 철학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조금씩 변화를 줘 새로운 트렌드를 선보이는 북유럽 디자인. 최근 선보인 브랜드를 토대로 북유럽 디자인 키워드에 대해 알아본다.

화사하고 컬러풀한 뉴 스칸디나비안 스타일
1950년대 노르웨이, 덴마크, 스웨덴, 핀란드의 북유럽 국가에서 시작해 하나의 스타일로 자리 잡은 북유럽 디자인은 오래전부터 형성된 디자인 성향을 여전히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그 안에서도 조금씩의 변화는 드러난다. 예부터 자연과 공존하는 삶을 중시해온 북유럽 사회는 각 세대에 걸쳐 자연환경을 소중히 여기고 자연에 대해 존경심을 갖는 전통을 유지하다 보니 자연스레 디자인에도 이러한 철학이 녹아들었다. 디자이너들은 꽃은 물론 눈꽃, 고드름 등 주변의 자연환경과 유기적 형상에서 영감을 받아 제품을 만드는데, 지난해 말 국내에 정식 론칭한 핀란드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이딸라의 경우 호수 둘레의 곡선 모양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한 유리 공예품으로 유명하다.

<STRONG>1</STRONG> 최근 국내에 상륙한 핀란드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이딸라의 소품들. 1881년에 탄생해 세월이 흘러도 여전히 멋스럽고 독창적인 디자인을 선보인다. 이러한 디자인을 만드는 장인들의 기술과 노력 또한 브랜드의 대표적인 가치로 꼽힌다.

1 최근 국내에 상륙한 핀란드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이딸라의 소품들. 1881년에 탄생해 세월이 흘러도 여전히 멋스럽고 독창적인 디자인을 선보인다. 이러한 디자인을 만드는 장인들의 기술과 노력 또한 브랜드의 대표적인 가치로 꼽힌다.

예전에는 이러한 자연에서 영감받은 디자인을 모형으로 직접적으로 표현했다면, 요즘에는 패턴이나 프린트로 새, 나뭇잎, 꽃 등을 새긴 디자인이 많다. 일상생활에서 사용하기에 무리가 없는 심플하고 절제된 디자인 성향도 이어지고 있다. 다만, 유행에 얽매이지 않는 선에서 모양과 소재에 약간의 변화를 주고 있는데, 최근 까사미아에 입점한 덴마크 브랜드 블루밍빌레는 감각적이면서도 간결한 디자인이 특징으로, 심플한 라인의 화병에 입체적인 모양이나 질감을 더해 변화를 준 디자인이 주를 이룬다.

<STRONG>2·3</STRONG> 겨울이 길어 실내에서 오랜 시간 생활해야 하는 북유럽 사람들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해 집 안에 밝은 기운을 불러일으키는 화사하고 컬러풀한 디자인이 많다. 사진은 스웨덴브랜드 리틀판트 제품.

2·3 겨울이 길어 실내에서 오랜 시간 생활해야 하는 북유럽 사람들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해 집 안에 밝은 기운을 불러일으키는 화사하고 컬러풀한 디자인이 많다. 사진은 스웨덴브랜드 리틀판트 제품.

무엇보다 최근에는 화사하고 알록달록한 색감과 아기자기한 디자인이 강세다. 북유럽은 겨울이면 오후 3시쯤부터 해가 지기 시작해 밤이 길고 상대적으로 바깥 활동이 적어 디자인을 통해 집 안에 밝은 기운을 들이려 노력한다. 특히 감각적인 패턴과 아기자기한 디자인의 테이블웨어가 눈에 띄는데, 실내에서 지내는 시간이 많다 보니 가족, 친구들과 함께 식사하는 자리가 자주 마련되기에 자연스레 식기류가 발달된 것이다. 리빙 편집매장 스타일리티에서 만날 수 있는 스웨덴의 리틀판트, 덴마크의 라이스는 눈을 즐겁게 하는 다채로운 디자인의 테이블웨어를 선보이고 있다.

지속 가능한 전통 스타일
북유럽 스타일이 오랫동안 꾸준히 세계인의 사랑을 받는 이유는 지속 가능한 디자인과 경영 방침 덕분이다. 새로운 북유럽 디자인 트렌드가 생겨도 기본적인 성향을 토대로 이뤄질 것이라는 예견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STRONG>4</STRONG> 화려한 컬러로 즐거움을 더하는 덴마크 브랜드 라이스. <STRONG>5</STRONG> 자연과 공존하는 삶을 중시하는 북유럽 사람들의 철학은 디자인에서도 드러난다. 새와 나비 등을 감각적인 컬러로 디자인한 덴마크 브랜드 라이스의 테이블웨어. <STRONG>6 · 7</STRONG> 북유럽은 집에서 가족, 친구들과 식사를 하는 경우가 많아 테이블웨어가 발달했다.

4 화려한 컬러로 즐거움을 더하는 덴마크 브랜드 라이스. 5 자연과 공존하는 삶을 중시하는 북유럽 사람들의 철학은 디자인에서도 드러난다. 새와 나비 등을 감각적인 컬러로 디자인한 덴마크 브랜드 라이스의 테이블웨어. 6 · 7 북유럽은 집에서 가족, 친구들과 식사를 하는 경우가 많아 테이블웨어가 발달했다.

간결하고 심플한 디자인 세월이 흘러도 변함없이 아름답고 오랜 세월 동안 북유럽 스타일이 사랑받는 이유는 군더더기 없이 간결하고 심플한 디자인에 있다. 이러한 트렌드에 얽매이지 않은 디자인 덕분에 북유럽 가정의 가구와 인테리어 제품들은 부모님이나 할머니로부터 물려받은 것들이 많다. 이딸라에서 1930년대에 출시된 제품이 지금도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장인 정신 수공예 작업으로 품질을 높이는 장인 정신도 북유럽 디자인이 오랫동안 사랑받는 이유에 속한다. 북유럽 디자이너들은 그들의 창의적인 영감을 장인 기술을 통해 현실화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이딸라는 기계가 아닌 장인이 액체 상태의 유리를 직접 입으로 불어 생산하는데, 1개의 화병을 만들기 위해 7명의 유리공예 장인이 30시간 동안 12단계의 제작 과정을 거친다.

<STRONG>8</STRONG> 간결하고 심플한 디자인은 북유럽 스타일의 대표적인 키워드다. 미학적인 부분에만 초점을 맞춘 것이 아니라 편안하고 오래 사용할 수 있는지를 고려한다. 까사미아에 입점된 덴마크 브랜드 블루밍빌레는 깔끔하고 화사한 색감 덕분에 유행에 구애받지 않아 실용적이다. <STRONG>9</STRONG> 호수의 둘레에서 영감을 받아 물결이 흐르는 듯한 라인으로 디자인한 이딸라의 ‘알바 알토’ 화병.

8 간결하고 심플한 디자인은 북유럽 스타일의 대표적인 키워드다. 미학적인 부분에만 초점을 맞춘 것이 아니라 편안하고 오래 사용할 수 있는지를 고려한다. 까사미아에 입점된 덴마크 브랜드 블루밍빌레는 깔끔하고 화사한 색감 덕분에 유행에 구애받지 않아 실용적이다. 9 호수의 둘레에서 영감을 받아 물결이 흐르는 듯한 라인으로 디자인한 이딸라의 ‘알바 알토’ 화병.

실용성&기능성 ‘디자인은 관상용이 아닌 사용하는 것’이란 말은 북유럽 디자인의 실용성과 기능성을 대변한다. 단순히 아름다운 제품에 치중하는 것이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언제든 사용할 수 있고 불편함이 없어야 하며, 이를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합리적인 가격에 제공하는, 모두를 위한 디자인에 중점을 둔다. 덴마크 리빙 브랜드 라이스는 멜라민, 세라믹, 라피아(야자섬유)로 제품을 만드는데, 가벼우면서도 견고해 잘 깨지지 않고 사용하기 편리해 실용적이라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윤리경영 북유럽 디자인의 지속 가능성을 뒷받침하는 것 중 하나로 윤리경영을 들 수 있다. 많은 북유럽 브랜드는 노동자들에게 합리적인 대가를 지불하고 더 나은 노동 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한다. 노동자들은 안전하고 능률적인 작업 현장에서 심적으로 안정감을 느끼는데, 이는 실용적이고 기능적인 제품 디자인이 탄생하는 결과로 이어진다. 리빙 브랜드 라이스는 라피아 가방을 만드는 마다가스카르의 노동자 여인들에게 현금으로 임금을 지급하면 남편이 돈을 착취하는 경우가 많아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쌀을 준다고 한다. 나아가 판매 수익을 모아 미얀마에 학교를 짓거나 전쟁 지역에서의 사회 공헌 프로젝트도 다양하게 진행하고 있다.

■진행 / 장인화 기자 ■사진 제공 / 까사미아(1588-3408), 스타일리티(02-3446-6538), 이딸라(02-3406-2187)

화제의 추천 정보

    Ladies' Exclusive

    Ladies' Exclusive
    TOP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