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유의 특색이 묻어나는 대사관저 인테리어

고유의 특색이 묻어나는 대사관저 인테리어

댓글 공유하기
어떤 나라에 대해 알고자 한다면 집을 방문하는 게 가장 좋은 방법일 것이다. 특히 대사관저는 자국의 색깔이 가장 잘 묻어나도록 꾸민 각국을 대표하는 공간이라 더욱 관심이 간다. 북유럽 열풍의 중심인 디자인 강국 핀란드와 다소 생소하지만 더 알고 싶은 나라 폴란드 대사관저를 찾았다.

기능성과 간결한 디자인,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제품을 선호하는 북유럽 국가의 특징이 잘 드러난 핀란드 대사관저. 종이로 만든 독특한 디자인의 플로어 스탠드는 비베로 제품.

기능성과 간결한 디자인,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제품을 선호하는 북유럽 국가의 특징이 잘 드러난 핀란드 대사관저. 종이로 만든 독특한 디자인의 플로어 스탠드는 비베로 제품.


북유럽 디자인이 그대로 재현된 핀란드 대사관저
상상하던 모습을 현실로 마주한 순간이었다. 그동안 북유럽 디자인에 대한 기사를 다루면서 익히 알게 된 북유럽 인테리어의 실제가 핀란드 대사관을 통해 눈앞에 펼쳐진 것. 조용하고 한적한 서울 성북구 대사관로(성북동)에 자리한 핀란드 대사관저는 드넓은 정원을 갖춘 저택 안에 간결함, 기능성, 실용성, 자연친화성 등 북유럽 디자인을 대표하는 키워드를 모두 함축하고 있었다. 봄 날씨가 완연한 4월의 어느 날, 핀란드 대사관저에서 만난 힐까 헤이모넨 대사 부인은 ‘Less is More’라는 한마디로 관저의 색깔을 표현했다.

“실용적이고 기능적인 인테리어, 군더더기 없이 간결한 디자인은 핀란드인들이 기본적으로 추구하는 스타일이에요. 대사관저 역시 이런 특징을 십분 발휘해 꾸몄죠. 이곳을 통해 북유럽의 대표적인 인테리어를 엿볼 수 있을 거예요.”

1 드라마틱한 그림자를 연출해내는 스탠드 조명은 디자이너 크리스티 타이비올라의 작품. 2 핀란드 대사관저에서 가장 좋아하는 공간인 거실에서 소파에 앉아 여유로운 시간을 보내고 있는 힐까 헤이모넨 대사 부인. 3 대사관저 지하에 마련된 사우나 시설. 핀란드인들은 일주일에 1, 2회 정도 사우나를 즐기는데 가정은 물론 공공장소에도 사우나가 마련돼 있다.

1 드라마틱한 그림자를 연출해내는 스탠드 조명은 디자이너 크리스티 타이비올라의 작품. 2 핀란드 대사관저에서 가장 좋아하는 공간인 거실에서 소파에 앉아 여유로운 시간을 보내고 있는 힐까 헤이모넨 대사 부인. 3 대사관저 지하에 마련된 사우나 시설. 핀란드인들은 일주일에 1, 2회 정도 사우나를 즐기는데 가정은 물론 공공장소에도 사우나가 마련돼 있다.

사실 대사관저의 인테리어는 각 나라의 외교부에서 관할하기 때문에 자유롭게 손을 댈 수 없지만, 가구나 간단한 소품 배치 정도는 재량껏 관여할 수 있다. 대사 부인은 특히 꽃을 무척 좋아해 꽃꽂이를 배우고 있는데, 봄이나 가을에는 화훼 시장을 다니면서 직접 고른 꽃을 정원에 심거나 집 안에 장식해 주기적으로 공간에 변화를 주고 있다.

기능성과 간결함이 돋보이는 핀란드식 인테리어
2년 반 전, 마띠 헤이모넨 대사가 주한 핀란드 대사로 부임하면서 이곳 핀란드 대사관저는 천장 · 바닥 · 페인트 공사 등을 통해 새롭게 리모델링됐다. 그 후 핀란드 외교부가 자국의 작가와 디자이너 제품들을 들이면서 핀란드의 ‘오리지널리티’를 대사관에 적용했다. 중요한 것은 기능성을 중시하는 나라답게 각종 소품을 장식용으로 그냥 덩그러니 놓아두는 것이 아니라 실제 사용을 위해 배치한다는 것. 예를 들어 양초나 화병의 경우 빛을 밝히거나 꽃을 꽂는 것과 같이 그 목적이 분명하다. 또 실용성을 생각해 가죽보다는 패브릭 제품 위주로 집 안을 꾸몄다.

깔끔한 인테리어를 비롯해 기능성이 돋보이는 가구로 채운 거실. 원목 다리를 휘어서 제작한 암체어는 아르텍, 원목 행잉 체어는 오리지널 하비텍 웍스 제품.

깔끔한 인테리어를 비롯해 기능성이 돋보이는 가구로 채운 거실. 원목 다리를 휘어서 제작한 암체어는 아르텍, 원목 행잉 체어는 오리지널 하비텍 웍스 제품.

브랜드 론칭 행사, VIP 행사가 진행되거나 대통령, 총리가 방문했을 때 맞이하는 공간인 거실은 깔끔하면서 대대로 사용해도 손색없을 만한 가치가 있는 가구들로 채웠다. 큰 창문은 기후 특성상 일조량이 적어 채광을 특히 중요하게 생각하는 북유럽 집의 특색을 반영한 것이다. 장인 정신이 투철한 핀란드 대표 브랜드인 이딸라 제품도 눈길을 끄는데, 핀란드에는 집집마다 이 브랜드의 제품이 놓여 있다고 한다.

소규모 음악회나 리셉션이 진행되는 다이닝룸은 원목 가구와 핀란드 작가의 예술 작품으로 꾸며 갤러리 같은 분위기가 난다. 핀란드에서는 학교와 같은 공공장소 어디에서든 미술품을 즐길 수 있도록 나라에서 적극적으로 지원한다고. 한편 창문에는 종이로 만든 커튼을 달아 햇빛이 잘 들게 했고, 테이블 위에는 심플한 조명을 리드미컬하게 달아 색다르게 연출했다.

식탁은 자연 풍경을 그대로 옮긴 듯 생생한 프린트가 담긴 마리메꼬 브랜드의 테이블클로스로 장식했다. 깔끔한 원목 조명을 길이감에 변화를 줘서 리드미컬하게 장식한 점이 돋보인다.

식탁은 자연 풍경을 그대로 옮긴 듯 생생한 프린트가 담긴 마리메꼬 브랜드의 테이블클로스로 장식했다. 깔끔한 원목 조명을 길이감에 변화를 줘서 리드미컬하게 장식한 점이 돋보인다.

“제가 직접 꾸민 부분은 많지 않지만 현재 대사관저가 핀란드를 대표하는 집으로서 본국의 문화나 디자인 특징이 잘 드러나 자부심이 굉장히 커요. 많은 사람들이 방문했을 때 핀란드 고유의 스타일을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들 좋아해서 저 또한 무척 만족스럽답니다.”

친근하고 따스한 분위기의 폴란드 대사관저
올해로 결혼한 지 40년이 된 크쉬슈토프 마이카·조피아 마이카 폴란드 대사 부부는 마치 신혼부부처럼 촬영 내내 웃으면서 다정한 모습을 보였다. ‘이 부부처럼 살고 싶다’라는 느낌을 받을 정도로 행복한 기운이 넘쳤는데, 그래서인지 주변의 많은 대사관저 중 유독 이곳만 햇살을 단독으로 받는 듯 무척 따뜻하고 친근하게 느껴졌다.

핀란드에서는 학교와 같은 여러 공공장소에서 모든 사람들이 미술품을 감상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다이닝 공간의 벽면에는 핀란드 작가 마이주 살멘키비와 안나 레투라이넨의 작품을 걸어 갤러리처럼 연출했다. 그림 같은 전경을 자랑하는 핀란드 대사관저.

핀란드에서는 학교와 같은 여러 공공장소에서 모든 사람들이 미술품을 감상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다이닝 공간의 벽면에는 핀란드 작가 마이주 살멘키비와 안나 레투라이넨의 작품을 걸어 갤러리처럼 연출했다. 그림 같은 전경을 자랑하는 핀란드 대사관저.

폴란드 대사관저 역시 대체적으로 외교부가 인테리어를 담당하고 조피아 마이카 대사 부인이 식물이나 소품 등으로 폴란드식 취향을 반영해 꾸몄다. 폴란드는 집집마다 벽난로가 있고 바닥에는 난방이 되지 않아 꼭 카펫을 사용하는데, 대사관저에도 거실 한쪽 벽면에 깔끔한 벽난로를 설치하고 바닥에는 기하학무늬의 모던한 카펫을 깔았다. 특히 삼각형꼴의 가구가 눈에 띄었는데, 이는 북쪽에 발트 해와 해안가가 있는 폴란드를 상징해 디자인한 것이라고 한다.

시선을 옮기면 폴란드 대사관저의 백미인 따사로운 햇빛을 듬뿍 받으며 창가를 가득 메운 식물이 등장한다. 모두 대사 부인이 직접 분갈이를 하고 정성스레 키운 것들이다.

폴란드인들은 자연에 대한 사랑이 각별한데, 조피아 마이카 대사 부인은 직접 분갈이하고 가꾸면서 키운 화초를 창가 가득 장식했다. 넓은 정원을 갖춘 폴란드 대사관저. 실제 폴란드 집들은 대부분 정원을 갖추고 있다고 한다.

폴란드인들은 자연에 대한 사랑이 각별한데, 조피아 마이카 대사 부인은 직접 분갈이하고 가꾸면서 키운 화초를 창가 가득 장식했다. 넓은 정원을 갖춘 폴란드 대사관저. 실제 폴란드 집들은 대부분 정원을 갖추고 있다고 한다.

“폴란드인들은 화초를 굉장히 좋아해서 집 안에서 꽃이나 식물을 많이 키워요. 폴란드인들의 각별한 자연 사랑이 반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 식물뿐만 아니라 동물도 많이 키우고 일상에서는 산이나 숲, 호숫가로 가서 자연과 함께하는 나날을 보내곤 합니다.”

크쉬슈토프 마이카·조피아 마이카 폴란드 대사 부부의 다정한 모습 덕분에 더욱 따뜻하고 친근하게 느껴지는 폴란드 대사관저. 거실 벽면에는 작년에 한국에 와서 직접 그림을 그린 폴란드 화가 랍사의 작품으로 장식했다.

크쉬슈토프 마이카·조피아 마이카 폴란드 대사 부부의 다정한 모습 덕분에 더욱 따뜻하고 친근하게 느껴지는 폴란드 대사관저. 거실 벽면에는 작년에 한국에 와서 직접 그림을 그린 폴란드 화가 랍사의 작품으로 장식했다.


그릇과 호박 보석의 나라, 폴란드
2층으로 연결되는 계단 위에는 폴란드 워비츠 지역의 전통의상이 장식돼 있다. 폴란드는 지역마다 전통의상이 있는데 손수 수를 놓으며 섬세하게 만든다.

2층으로 연결되는 계단 위에는 폴란드 워비츠 지역의 전통의상이 장식돼 있다. 폴란드는 지역마다 전통의상이 있는데 손수 수를 놓으며 섬세하게 만든다.

폴란드는 그릇과 도자기 산업이 발달돼 있고 전 세계에 수출하는 호박 보석의 원산지다. 조피아 마이카 대사 부인은 어떻게 하면 폴란드의 색깔을 더 잘 보여줄 수 있을까, 고민하다가 대사관저에 그릇과 호박 보석을 장식하게 됐다고 말한다. 그릇은 거실 테이블에 세팅된 것들이 폴란드의 대표적인 디자인인데, 꽃이나 열매 등의 경쾌하고 화려한 패턴이 특징이다.
폴란드 북쪽에 면한 발트 해와 해안가에서 모티브를 얻어 디자인한 가구.

폴란드 북쪽에 면한 발트 해와 해안가에서 모티브를 얻어 디자인한 가구.

모두 19세기부터 볼레스와비에츠라는 도시에서 장인 정신에 입각해 손으로 하나하나 그려서 만든 것으로, 지금도 그곳에 가면 가족이 정성 들여 그릇을 만드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아시아에 실크로드가 있듯이 폴란드에는 ‘앰버로드(Amber Road)’가 있을 정도로 호박 보석 또한 유명하다. 대부분 그다인스크라는 해안 도시에서 발굴하는데, 크쉬슈토프 마이카 대사는 자신들도 이 도시에서 만나 인연을 이어오게 됐다며 그때의 추억이 떠오르는 듯 행복한 표정을 지어보인다.

폴란드는 가톨릭 국가로, 지난달 부활절을 맞아 다이닝 공간을 새롭게 단장했다.

폴란드는 가톨릭 국가로, 지난달 부활절을 맞아 다이닝 공간을 새롭게 단장했다.

목재 주택이나 원목 가구 등 나무를 많이 사용하는 폴란드처럼 한국도 한옥이나 원목 가구가 많아 두 나라가 닮은 듯하다고 입을 모으는 대사 부부. 한국에서 임기를 마치고 폴란드에 있는 집으로 돌아갈 때는 나전칠기 공예품이나 소나무로 만든 전통 가구를 꼭 가져가 한국을 추억하고 싶다는 소망을 전했다.

꽃과 식물 등 경쾌하고 화려한 패턴이 매력적인 폴란드의 대표적인 그릇들. 볼레스와비에츠라는 도시에서 수작업으로 하나하나 정성 들여 만든다.

꽃과 식물 등 경쾌하고 화려한 패턴이 매력적인 폴란드의 대표적인 그릇들. 볼레스와비에츠라는 도시에서 수작업으로 하나하나 정성 들여 만든다.


폴란드는 호박 보석의 최대 생산지로 목걸이나 예술품, 화장품 등을 만드는 데 활용하고 있다. 거실 테이블에 장식한 목걸이는 4억 년 전에 발굴된 호박 보석으로 만든 것.

폴란드는 호박 보석의 최대 생산지로 목걸이나 예술품, 화장품 등을 만드는 데 활용하고 있다. 거실 테이블에 장식한 목걸이는 4억 년 전에 발굴된 호박 보석으로 만든 것.


■진행 / 장인화 기자 ■사진 / 장태규(프리랜서)

화제의 추천 정보

    Ladies' Exclusive

    Ladies' Exclusive
    TOP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