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 1 맛있는 추억과 행복이 가득한 디저트 작가 백오연의 아틀리에 105

좋아하는 요리책과 예쁜 그릇만으로도 행복한 백오연씨.
지난해 옥수동에 문을 연 아틀리에 105는 디저트 작가 백오연씨(37)의 작업실이다. 베이킹 클래스 및 개인 작업실로 쓰이는 이곳에서는 그녀의 미적 감각과 취향을 감상할 수 있다. 모던 빈티지를 추구하는 아틀리에 105는 벽과 천장은 깔끔한 화이트 컬러를 사용하고 나무 소재의 테이블과 빈티지한 블루 계열의 수납장, 소품 등으로 포인트를 줬다. 주방의 중심에는 널찍한 아일랜드 조리대를 두어 한꺼번에 여러 사람이 편안하게 베이킹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했다. 오븐, 숙성기 등을 제외한 냉장고, 냉동고 등은 아일랜드 조리대 밑으로 넣어 깔끔함이 돋보인다.

넓은 아일랜드 조리대는 한 번에 여럿이 빵을 만들 수 있을 만큼 넉넉하다.
“자주 사용하는 도구나 좋아하는 것들을 모아 인테리어에 활용해보세요. 접시면 접시, 볼이면 볼, 같은 컬러끼리 모아두면 그 자체로도 멋진 인테리어 장식이 돼요. 취미가 인테리어 팁이 될 수도 있어요. 평소 차를 좋아해서 차의 향을 이용한 디저트를 즐겨 만들곤 해요. 직접 구입한 것뿐 아니라 선물받은 티 캔이나 티 박스를 컬러별로 모아두면 멋진 인테리어 소품으로 활용할 수 있어요. 숟가락이나 찻잔 등 평소 관심 있는 것을 모으다 보면 그 자체로 충분히 멋진 장식 효과를 낼 수 있답니다.”

자주 사용하는 제과제빵용 틀을 기둥 한 면에 걸어두니 사용하기도 편하고 장식 효과도 있다.
“엄마는 떡은 물론 당근케이크, 슈크림, 초콜릿을 직접 만들어주셨을 만큼 요리에 남다른 재능이 있으셨어요. 각종 조리 도구며 요리책이 있는 주방은 엄마만을 위한 숨겨둔 공간 같았지요. 창문으로 햇빛이 들어오고 시루에 김이 모락모락 올라오는 주방에서 엄마가 뜯어준 밀가루 반죽을 가지고 놀던 기분 좋은 기억이 지금도 선명해요.”
백오연씨의 음식에 대한 열정과 재능, 주방에 대한 애정은 어머니의 영향이 크다. 그녀는 그때의 감성을 딸에게도 전하고 싶어 작업실 한쪽에 아이 공간을 마련해 함께 빵을 만들고 대화를 나누기도 한다.

빈티지한 블루 계열의 캐비닛 위에는 찻잔들이 종류별로 장식돼 있다.

주방에서 빵을 굽는 순간은 언제나 행복하다.

작업실 입구 한쪽 벽면에는 평소에도 사용하는 도마들을 걸어놓아 장식 효과를 살렸다.

제작 주문한 나무 선반에는 컬러감이 돋보이는 볼과 접시 위주로 정리했다. 선반 아래에는 작은 머그로 만든 모빌 작품이 걸려 있다.

다채로운 티 박스와 티 캔을 한데 모아두면 장식 효과를 줄 수 있다.
Part 2 이야기가 있어 행복한 주방 채식 베이킹 작가 전수미의 쿡앤북

주방에서 맛있는 빵을 굽고 일상을 공유하는 쿡앤북의 전수미씨.
“어릴 적 저희 집 주방은 동네 사람들의 사랑방 같은 공간이었어요. 아버지께서 운영하시던 약국 뒤로 가정집이 있었는데, 약국 뒷문을 열면 바로 주방이 연결되는 독특한 구조였지요. 집으로 들어가는 대문이 별도로 있었지만 약국에 연결된 주방을 통해 집으로 들어오는 분들이 많다 보니 주방은 자연스럽게 약국 식구들의 식당이 되기도 하고 커피를 마시거나 간식을 먹는 카페가 되기도 했어요. 그래서인지 주방은 개인적인 공간이라기보다는 언제나 사람들로 북적이며 맛있는 음식을 먹고 대화를 나눴던 곳으로 기억돼요.”

세계 곳곳을 여행하며 모은 그릇과 베이킹 도구, 직접 만든 손뜨개 인형 등을 장식한 빈티지 수납장.

빈티지한 화이트 수납장은 와인과 유리병을 보관하는 데 사용한다.

각종 요리 관련 책과 넓은 테이블이 작은 북카페를 연상시킨다.
56㎡(17평)의 작은 공간인 쿡앤북은 벽과 천장에 화이트 컬러를 사용해 실제 면적보다 넓고 밝아 보인다. 좁은 공간을 실용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보이지 않는 곳곳에 수납장을 배치해 최대한 깔끔하게 정리했다. 또 베이킹 수업에 필요한 아일랜드 조리대는 크기가 커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데, 바퀴를 달아서 필요할 때마다 움직일 수 있도록 만들어 공간 활용에 효율적이다. 반지하에 있는 쿡앤북은 천장의 높이가 낮아 답답해 보일 수 있어 곳곳에 큰 창문을 배치했는데 덕분에 채광이 좋고 환기 효과도 크다. 지나가던 사람들도 창문을 통해 내부에서 진행되는 베이킹 수업을 볼 수 있어 홍보 효과도 있다고.

빵이나 쿠키를 구운 뒤 식힐 때 사용하는 철제 식힘망은 사용하지 않을 때 냉장고나 벽면에 붙여 장식용 오브제로 활용할 수 있다.

큰 창문으로 햇살이 들어오는 쿡앤북의 카페 공간.

빈 공간에 두기만 해도 멋스러운 철제 우유통, 녹색 유리병에 빈티지한 뚜껑이 멋스러운 유리 용기, 오래된 저울 등은 미국과 유럽 등지에서 구입한 것. 해외여행 중 벼룩시장에서 하나둘 구입한 라테 볼과 커피 잔은 어느덧 선반 하나를 가득 채웠다.
■진행 / 이진주 기자 ■사진 / 송미성(프리랜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