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문으로 들어서면 초록빛 식물이 가득한 정원이 등장하는데, 거실에서 이곳을 바라보면 절로 힐링이 된다.
근사한 인테리어로 무장한 집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는 요즘, ‘집이란 무엇일까’ 하고 한 번쯤 생각해보게 된다. 화려한 가구와 소품, 자재들로 고급스럽게 꾸밀 수도 있고 유행을 좇아 트렌디한 컨셉트로 인테리어를 할 수도 있다. 하지만 배상윤(49)·이경희(47) 부부의 공간을 접한 이후 집은 역시 사람 냄새가 나고 하루의 피로가 눈 녹듯 사라지는 휴식 같은 곳이 돼야 한다는 생각이 확고해졌다. 대문을 열고 들어서면 바로 보이는 초록빛 가득한 정원, 곳곳에 자리한 싱그러운 식물들, 옥상에서 따뜻한 햇살을 받으며 건강하게 자라는 채소와 농작물들. 여기에 세월의 흔적이 느껴지는 편안한 나무 소재의 가구들까지. 눈에 보이는 미적인 부분만 중시한 집에서는 결코 느낄 수 없는 편안하고 자연스러운 분위기가 스며들어 있었다.

나무 바닥과 책장, 선반, 가구 등으로 연출해 자연스럽고 편안한 분위기가 느껴지는 거실. 가구는 기존의 것을 최대한 활용해 꾸미고 액자나 패턴 쿠션 등으로 포인트를 살렸다. 쿠션은 까사미아, 액자는 온그리드 제품.
집은 프랑스의 한 건축과 교수가 설계한 것으로, 부부는 시공 전 설계를 봤을 때 독특한 유리 외관과 기능적 요소가 마음에 들었단다. 특히 집이 유리벽을 사이에 두고 외부와 소통하며 사계절 다른 풍경을 연출하는 컨셉트가 좋았다 . 외관과 같은 큰 틀은 건축과 교수가 맡고, 수도 배관이나 전기 공사, 개수대 설치 등의 디테일한 부분은 건축사인 배상윤씨 조카를 통해 진행했다. 가구나 가전제품, 인테리어 소품 등은 기존에 쓰던 것을 대부분 그대로 가져와 구성했다. 새 제품보다는 가능한 한 있는 것들을 활용하고, 고장이 난 것은 고치고 필요한 것은 만들어 쓰는 부부의 생활 방식에 따른 것이다. 그래서인지 어느 것 하나 어색하지 않고 부부가 살아온 날들과 함께 자연스럽게 어우러져 있다.

유리 외관이 시선을 사로잡는 배상윤·이경희 부부의 판교 단독주택.

옥상에 마련된 정원. 이경희씨는 이곳을 텃밭으로 활용해 채소나 과일을 기르며 삶의 또 다른 즐거움을 느끼고 있다. 날씨가 좋을 때는 친구나 지인들을 초대해 함께 맛있는 음식을 즐기기도 한다.
대문으로 들어서면 피톤치드를 내뿜는 식물이 가득한 작은 수목원 같은 정원이 펼쳐진다. 초록이 완연한 식물을 바라보기만 해도 절로 힐링이 된다는 이 부부에게 정원은 삶의 질을 한층 높이는 역할을 하고 있다. 정원을 지나 실내에 들어서면 넓은 거실이 눈에 들어온다. 바닥부터 테이블, 책장, 선반, 의자 등 온통 원목 가구로 꾸며 자연스러우면서 편안한 분위기가 충만하다.

아이들 방과 부부의 침실로 이어지는 2층 복도. 깔끔한 화이트톤과 나무 소재가 어우러져 자연스러운 멋이 난다.

커다란 통창으로 햇살이 쏟아져 따스한 느낌을 주는 다이닝 공간 또한 원목 가구로 자연스러운 분위기를 유지시켰다.
2층을 지나 옥상으로 올라가자 햇빛이 내리쬐는 정원이 나타난다. 이경희씨는 이곳을 각종 채소와 과일을 기르는 텃밭으로 활용하면서 자급자족 생활의 기쁨을 만끽하는 중이다. 때로 날씨가 좋을 때는 친구들을 불러 바비큐 파티를 열거나 음식을 준비해 즐거운 시간을 보내기도 한다.

깔끔한 화이트톤 상부장과 원목 소재 하부장으로 아늑함이 느껴지는 주방. 테이블은 배상윤씨가 직접 솜씨를 발휘해 제작했다.
초록빛 식물이 가족을 반기고 따스한 햇살이 집 안에 스며들어 아늑함을 주는 집. 정원을 비롯한 공간 곳곳에서 치유의 시간을 보내는 이 가족에게 집은 그 자체로 휴식이 돼주고 있었다.

부부 침실은 나무 가구를 놓고 벽을 연두색으로 칠해 자연의 상쾌한 느낌을 살렸다. 액자를 벽에 거는 대신 바닥에 두는 것도 멋스럽게 연출할 수 있는 하나의 팁. 쿠션과 바닥에 놓은 그림 액자는 까사미아, 침대 헤드에 놓은 그림 액자는 온그리드 제품.

사람, 휴식 그리고 집

사람, 휴식 그리고 집

사람, 휴식 그리고 집

사람, 휴식 그리고 집
■진행 / 장인화 기자 ■사진 / 김동연(프리랜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