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 휴가철 동안 교통사고 발생률이 평소보다 10~15%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휴가를 떠나는 이들이 늘어나며 주요 고속도로와 관광지 주변 도로의 교통량 또한 증가하기 때문이다.
교통 혼잡은 사고 위험을 높이는 주요 원인 중 하나다. 장시간 운전으로 인한 피로와 휴가에 따른 들뜬 분위기로 운전 집중력이 저하될 수 있다. 이는 반응 속도를 늦추고 돌발 상황에 대한 대처 능력을 떨어뜨린다. 또한, 음주운전 증가와 장마철 폭염, 폭우나 태풍 등 기상 변화로 도로 상황이 악화하여 사고 위험이 커진다.
임기상 자동차시민연합 대표는 “폭염으로 인해 운전자들의 피로와 스트레스가 증가하면서 인지능력 과부 하 현상으로 교통사고 발생 위험이 크기 때문에 휴식 후 운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폭염과 교통사고의 상관관계?
기온이 상승할수록 교통사고 발생률도 증가한다. 중등도 고온(27~30도)에서는 교통사고 발생률이 약 9% 증가하고, 폭염(35도 이상)에서는 약 14% 증가한다. 이는 주로 운전자들의 피로와 스트레스 증가, 주의력과 반응 시간 저하에 기인한다.
특히 기온이 30를 초과할 경우 운전자의 반응 시간이 느려지고 판단력이 저하되어 사고 발생 위험이 크게 높아진다. 폭염주의보가 발령될 정도의 고온 상태에서는 교통사고 발생률이 평상시보다 약 14% 이상 증가할 수 있다. 주의력 및 반응 시간 저하, 차량의 기계적 결함(타이어 펑크, 엔진 과열 등)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
폭염주의보는 하루 최고기온이 33도 이상, 폭염경보는 35도 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할 것으로 예상될 때 발령된다. 기온이 최고조에 이르는 오후 시간대, 특히 오후 12시부터 4시 사이에 교통사고 발생률이 가장 높다.
휴가철 법규 위반 2위는 신호 위반, 1위는?
최근 5년간 7월과 8월에 발생한 전체 교통사고 중 법규 위반으로 인한 사고 통계는 절반이다. 안전운전 의무 불이행이 전체 법규 위반 사고의 55%를 차지하며, 스마트폰 사용 등 주요 부주의 원인으로 나타났다. 신호 위반은 전체 사고의 13%를 차지하며, 교차로에서의 신호 무시가 주요 원인이다.
안전거리 미확보는 전체 사고의 10%를 차지하며, 앞차와의 안전거리를 충분히 유지하지 않아 발생하는 사고이다. 특히, 휴가철에는 차량 정체와 폭염으로 인해 운전자의 스트레스와 피로가 증가할 수 있음으로, 안전운전 의무를 철저히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휴가철 낮 시간대 운전 중에는 점심 후 식곤증, 더위로 인한 주의력 저하 등으로 인해 졸음운전이 발생할 위험이 크다.
안전 좌석은 뒤 중간
가족 단위 여름 휴가지 안전 운행을 위한 어린이 안전 좌석 사용도 중요하다. 미국 교통안전청(NHTSA)의 자료에 따르면 가장 안전한 좌석은 뒷좌석 가운데로 차량의 중앙에 위치해 충격을 덜 받기 때문에 가장 안전한 좌석으로 평가된다.
특히 측면 충돌 시 보호받을 가능성이 커, 어린이를 이 좌석에 앉히는 것이 좋다. 가장 위험한 좌석은 조수석으로, 전방 충돌 시 가장 위험한 좌석이다. 모든 좌석에서 항상 안전띠를 착용하고, 어린이는 절대 조수석에 앉히지 않야 한다.
휴가지 음주운전은 패가망신
휴가지와 같은 인구 밀집 지역에서 음주운전 사고가 더 빈번하게 발생하며 주로 밤 9시부터 새벽 3시 사이에 집중된다. 연령대별로는 20대와 30대에서 음주운전 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경향이 있으며, 숙취 운전으로 인한 음주사고도 주의해야 한다.
2022년 7월부터 음주운전 사고 부담금 한도가 폐지돼 대인 1인당 최대 1억 5천만 원, 대물 피해 2천만 원까지 보상금 전액을 음주 운전자가 부담해야 한다.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에 따라 보험금을 지급한 후 보험사는 해당 금액을 음주 운전자에게 구상권을 청구한다.
차량 정체는 정보 운전으로
7월과 8월 사이에 졸음운전에 의한 교통사고가 가장 자주 발생하며 전체 고속도로 사고 약 20%의 원인이 졸음운전이다. 새벽 시간대와 점심 이후가 위험 시간대이며 여름 휴가철에는 많은 사람이 장시간 운전해 여행을 떠나기 때문에 졸음운전 사고가 빈번히 발생한다.
휴가철에는 차량 정체가 예상되므로 정보 운전이 중요하다. 차량 정체 상황에서 조급 운전이나 과속은 폭염으로 인한 스트레스로 인해 운전자의 인지능력에 과부하를 일으켜 사고 위험성을 높일 수 있다.